1인 밴드 ‘KRP’가 5곡으로 구성된 1집 앨범 ‘The Early KRP Cookbook’를 발매했다. 앨범은 ▲ (It Takes Time To Create) Magnum Opus ▲ Daydreamed ▲ Tipsy ▲ Doomed ▲ 빈 정상 (Empty Apex)의 5개 곡으로 구성됐다. KRP는 이 5곡을 5개의 소리, 5개의 요리로 비유하면서 ‘들리는 오미자차’를 앨범의 컨셉이라고 표현하며 각각의 곡들을 색다른 맛들로 정의할 수 있다고 비유했다. 다만, KRP가 컨셉 앨범을 별로 안좋아하는데, 이번 앨범도 작업물들을 모아 보면 처음 의도와 다르게 컨셉이 정해지는 케이스라고 이번 앨범을 설명했다. 앨범 곡 숫자가 5곡인 것도 첫 미니 앨범이 6곡, 그 다음엔 4곡 이었으니 이번엔 5곡이어야 한다는 강박증을 탈피하고 싶었던 의도로 시간을 뒀으나 결국 5곡으로 정해줬다는 후일담도 전해줬다. KRP(Kevin's Retirement Plan)은 학창시절 사용한 영문이름인 ‘케빈(Kevin)’을 차용한 ‘케빈의 은퇴계획’이라는 이름의 밴드다. SNS상에서는 ‘뭐든지 섞고 말이 된다 우기는 밴드’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소개를 하고 아트락/포스트펑크 장르를
삼성전자가 올해 상반기 4,400명 가량을 추가로 채용하면서 고용인원이 11만 8,000명에 육박하면서 역대 최대 숫자를 달성했다. 향후 5년간 8만 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약속한 숫자의 첫 발자국을 당차게 내딛은 셈이다. 8월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성전자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6월 말 기준 직원 수는 11만 7,904명, 근속연수는 12.5년이다. 2021년 연말 11만 3,485명 보다 4,400명 가량이 늘어났고 2022년 상반기 기준으로도 증가폭이 크다. 2021년 6월 말 11만 1,683명 보다는 6,200명 이상 늘어 2020~2021년 상반기 증가폭 5,609명 보다도 컸다. 국내 4대 그룹 가운데 유일하게 신입사원 정기 채용을 유지하고 있는 삼성은 오는 9월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를 시작할 예정이어서 직원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윤석열 정부 출범에 맞춰 향후 5년간 8만 명의 신규 채용에 대해 대규모 계획을 발표한 만큼 반도체와 바이오 등 미래 먹거리 사업을 중심으로 채용 규모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초격차 기술 확보를 내세우면서 상반기 연구개발(R&D) 투자도
수소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일본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중국이 치고 올라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자동차 연료전지 등의 ‘이용’ 기술을 중심으로 종합 실력도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관련 특허 출원 건수가 이전보다 30% 줄면서 출원을 늘리고 있는 중국이 한국, 미국, 독일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수소에너지는 연소해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에너지로 꼽히면서 ‘제조’, ‘저장’, ‘운송’, ‘공급’, ‘안전관리’, ‘활용’ 등 5개 분야가 기술경쟁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데이터 분석업체 아스타뮤즈는 2011~2020년 출원한 수소에너지 관련 특허를 분석해 유사 특허로 인용된 횟수, 권리의 잔여기관 등을 경쟁력으로 나타내 ‘특허 점수로’ 산출했다. 분석 대상은 기업과 연구기관이 세계적으로 출원한 특허로 총 특허 수는 14만 건이 넘었다. 국가별로 일본이 종합 점수 1위를 차지했고 출원 건수가 많은 연료전지 특허는 일본의 강점으로 손꼽힐만 했다. 하지만 2001~2010년 기간 분석 결과 5위였던 중국이 치고 올라오면서 일본의 턱 밑까지 추격해왔다. 중국은 국가지원정책에 힘입어 특허 출원을 늘려오고 있고 지방정부도 이를 뒷받침해오고
현대자동차 그룹의 4개 회사가 오픈소스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영역의 공신력 확보를 위해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관련 표준인증인 ISO/IEC 5230을 획득했다. 현대차그룹 4개 회사는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오토에버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시 오픈소스를 활용할 경우 개발기간의 단축, 비용 절감 등의 장점도 있지만, 저작권 분쟁이나 보안 취약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오픈소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는 기업이나 개인 개발자가 오픈소스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준수하는 규정이다. 현대차 그룹은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국제표준 인증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부품 패키징, 양산으로 이어지는 4개사가 협력해 취득함으로써, 자동차 공급망 전반에 걸친 오픈소스 공신력 확보에 나섰다.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채택한 유일한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관련 국제표준인 ISO/IEC 5230은 ▲오픈소스 정책과 프로세스 수립의 적정성 ▲컴플라이언스 시스템 구축 여부 ▲개발자 교육‧평가 등에 대한 기준 충족 여부를 심사해 인증여부를 평가한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제약사 화이자(Pfizer)가 혈액치료제 제조사 ‘글로벌 블러드 테라퓨틱(GBT)’ 인수에 54억 달러(원화 약 7조 500억 원)을 배팅했다. 1주 당 68.5 달러를 지불하는 것으로 지난 8월 4일 GBT 종가 대비 43%의 프리미엄을 가격이다. 겸상 적혈구 질환(Sickle-cell disease) 치료제인 '옥시브리타'를 제조하는 ‘글로벌 블러드 테라퓨틱’은 2022년 2억 6000만 달러(원화 약 3,300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겸상 적혈구 질환(Sickle-cell disease)은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적혈구가 낫 모양으로 변하고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미국에서 약 7만~10만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유전성 질환이다. 화이자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통해 확보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기업 인수 행진을 펼치고 있다. 20201년 813억 달러(원화 약 106조 2,200억 원)의 매출을 올린 화이자는 2020년 대비 2배의 매출을 올렸다. 코로나19 치료제인 팍슬로비드가 추가되면서 2022년에는 1,000억 달러(원화 약 130조 6,500억 원)의 매출이 기대되고 있다. 화이자는 앞서 5월에 편두통 치료제 제조업
캄보디아 GDP가 2020년 -3.1%에서 2021년 3% 반등했다. 글로벌 신용평가인 S&P는 세계은행, IMF, ADB 전망치보다 더 성장 전망했다. 이는 성공적인 백신 접종을 통해 국민과 외국인들의 활동을 제한하지 않아 국가신뢰도를 높여 외국인 투자 재활성화를 촉진시킨 결과다. 필자는 특히 실물적인 시장 관점에서 볼 때 캄보디아를 직접 방문하고, 다양한 인사를 만나고, 많은 곳을 가보니 피부로 느낀 것은 캄보디아가 우려했던 것보다는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를 잘 극복하고 나름 선방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 코로나19 이전 이후 변화 보니....프놈펜 스타벅스 4개--> 20개, 호치민은 스타벅스 폐쇄 이를 증명하는 단적인 예는 2019년 프놈펜에 스타벅스 커피숍이 4곳 있었다. 2022년 현재 20곳으로 늘어났다. 놀라운 것은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16곳이 증가, 지금까지 성업을 이어오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반해 베트남 호치민시티 스타벅스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베트남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버티지 못하고 폐쇄되었다. 이것만을도 두 나라 간의 확연한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중국과 베트남은 ‘코로나 제로 정책’으로 인해
팁스(TIPS) 운영사인 더인벤션랩이 시드 투자를 위한 개인투조합을 결성했다. 더인벤션랩은 2017년 8월에 첫 개인투자조합을 결성한 후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시장을 타겟으로 스타트업의 시드 투자를 단행해왔다. 결성한 조합은 ▲베트남진출신기술 투자조합 ▲베트남초기리테일 개인투자조합 1‧2호 ▲베트남초기성장기업 개인투자조합 1‧2호 등 5개 조합을 결성해 총 30억 규모의 동남아시아 시잔 진출 스타트업 투자를 단행했고, 이번에는 ‘SEA넥스트유니콘 개인투자조합 1호’를 결성했다. 현재 더인벤션랩은 베트남 및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용 개인투자조합을 포함하여 개인투자조합 운용규모가 100억원을 넘었고, 보령제약, 대원, 우미건설, 국보디자인 등의 상장사가 출자자로 참여한 투자합자조합 규모가 100억 원에 도달하는 등 총 200억 원을 극초기 및 초기 스타트업팀에 투자집행해 왔다. 이번에 새롭게 결성한 ‘SEA넥스트유니콘 개인투자조합1호’의 경우, ‘아세안 슈퍼앱 전쟁’ 서적으로 유명한 동남아시아 전문가인 고영경 박사가 공동업무집행조합원(Co-GP)로 참여했다. 고영경 박사는 말레이시아의 툰쿠 압둘 라흐만 대학(Universiti Tunku Abdul Ra
국토교통부는 2022년 상반기 전국 161개 건설 현장에 대한 하도급 규정 준수 여부 실태점검을 실시한 결과 점검 대상 현장의 22%에 해당하는 36개 현장에서 불법 하도급 사례를 확인했다. 전국 건설현장 불법 하도급 단속에서 전체 36건이 적발됐고, 이 중 34건이 종합업체들의 직접시공 위반이었다. 실태점검 대상은 2021년 10월 이후 정부당국,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발주하고 종합‧전문건설어 간 상호지상 진출이 허용된 공공공사 현장 가운데 불법하도급이 의심되는 161개소다. 상호시장 진출 시 총 도급금액의 80% 이상 직접시공 의무 준수와 하도급시 발주청 승인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살핀 국토교통부는 2021년부터 공공공사를 대상으로 종합‧전문건설업 간 칸막이식 업역 규제를 허물면서 상호시장 진출을 허용했다. 그러면서 도급금액의 80% 이상을 원도급자가 직접 시공하도록 했으나, 발주자의 사전 서면 승인이 있거나 신기술‧특허 등을 갖춘 업체에 대해서는 도급금액의 20% 범위에서 하도급이 가능하도록 예외를 허용했다. 하지만 이번에 적발된 사례 가운데 도급금액의 80% 이상 직접시공 의무를 준수하지 않은 경우가 전체 36건 중 34건으로 위반 사례의 대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