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홈플러스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과정에서 또 다시 600억 원 규모의 대출을 받았다. 이미 MBK의 차입매수(LBO) 여파로 10년 가까이 과중한 부채에 시달려온 홈플러스가 이번에는 또 다른 사모펀드로부터 고금리 자금을 조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재무 건전성 회복’이라는 기업회생 취지를 스스로 무색하게 만들었다는 비판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대출이 최우선 변제 대상인 ‘공익채권’으로 분류되면서 기존 채권자들의 손실 우려가 커지는 중이다. 지난 4월 11일 홈플러스는 사모펀드 운용사인 ‘큐리어스파트너스’에서 600억 원 규모의 DIP(Debtor-In-Possession) 파이낸싱 대출을 받기로 했다. 대출 금리는 연 10%, 만기는 3년이다. 대출금은 홈플러스 매장에 입점한 소상공인들에게 정산대금을 지급하는 데 쓰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핵심은 ‘법정관리’ 중인 기업이 고금리로 다시 대출을 받은 부분이다. 지난 2015년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하면서 전체 거래금액 7조 2,000억 원 중 절반이 넘는 4조 3,000억 원을 홈플러스 명의의 차입금 등으로 조달했다. 이후 홈플러스는 10년에 가까운 기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한 90일 동안 수십개국과 맞춤형 협상을 벌이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지난 4월 12일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무역팀은 90일간 90개의 협상을 추진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회의적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의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마로스 세프코비치 무역 담당 부위원장이 오는 4월 14일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 워싱턴을 찾지만, 정작 미 재무부의 스콧 베선트 장관은 이때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을 예정이라는 점을 상징적 사례로 들었다. 연간 무역 규모가 1조 달러에 이르는 최대 무역 상대인 EU에서 최고위급 인사가 긴급히 찾아오는데도 이를 상대할 미국의 최고위급은 워싱턴을 비우는 것이다. 유럽연합도 협상을 빠르게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인데, 나머지 나라들의 협상은 더 더딜 수밖에 없다는 진단이다. 미국무역대표부(USTR) 부대표 출신인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이런 결정을 준비하려면 진지한 협상이 필요하다.”며 “제시된 기간 동안 이들 국가와 포괄적인 합의에 이를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때 이뤄진 가장 작은 규모의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상대로 막대한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맞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와 다른 점은 ‘물밑 협상’이 진행되던 1기와는 다른 분위기라는 점이다. 중국은 트럼프의 관세 공격에 하루 시차를 두고 동일한 수준으로 대응하면서 세계무역기구(WTO)에도 분쟁 해결 절차를 꾸준히 활용하고 있다. 갈등 유발자인 미국의 압박에 굴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면서 동시에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이 문제 해결의 열쇠가 자유무역 확대임을 강조하는 냉소적인 상황이다. 반대로 자유진영의 대표로 꼽히던 미국이 보호무역의 확대와 내수 부양을 통한 경제 체질 변화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볼 수 있다. 중국은 미국을 상대로 희토류(Rare Metal)의 무기화와 위안화 평가절하를 내세운다. 지난 4월 8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관세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환율을 조작한다고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비난 직후 중국은 보란 듯이 달러당 7.2위안 선을 허물며 ‘환율전쟁’도 감내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대미 보복 조치 대상에 희토류 원석은 물론 가공・정제 희토류까지 포함시켰다. 일부 미국산 농산품・가금육 제재 검토는 트럼프의 지지 기반을 겨냥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18일 5일간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국빈 방문을 앞두고 있다.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 산하의 국제 텔레비전 방송 CGTN은 “중국이 우호, 성실, 상호 이익, 포용의 원칙에 따라 어떻게 주변 외교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웃 국가와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이번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이다. 올해 들어 미국-중국의 물러설 수 없는 '관세전쟁'이 시작되었다. 중국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아세안 우방국들과의 결속 다지기로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왔다. ■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미국-중국 관세전쟁 속 '우방챙기기' 중국 외교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18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한다"고 11일 발표했다. 이번 3개국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이다. 린젠(Lin Jian)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브리핑에서 “이웃 국가는 중국 외교의 최우선 순위이며,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은 미래를 공유하는 좋은 이웃, 좋은 친구, 좋은 파트너”라고 말했다. 린 대변인은 일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중국서 생산량 80%, 아이폰 2배 폭등 의식했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반도체 및 반도체 생산 장비 등에 대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부과 면제 조치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은 11일 오후 10시 36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 공고를 홈페이지에 게시하면서 이를 공식화했다. 이 내용에 따르면 스마트폰, 무선통신 기기, 노트북 컴퓨터, SSD, LCD 모니터, 메모리, 태양광 패널, 단결정 반도체 칩, 기타 반도체 장치, 반도체 부품, 직접회로(IC), 광전자 장치 등을 상호관세 부과 면제된다. 이같은 조치는 중국과 대만에 대한 관세 부과로 아이폰과 맥북 가격이 2배 이상 급등하는 것에 대한 미국 소비자들의 반발을 의식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현재 아이폰은 전체 생산량의 약 80%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나머지 분량은 인도·베트남·브라질 등 여타 국가로 분산돼 있다. 중국에서 들여오는 품목도 면제 대상이어서 트럼프 정부의 중국에 대한 첫 관세 완화 의미가 담긴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매일유업이 세척수가 유입된 우유를 생산, 유통한 데 대해 관할 지자체가 영업정지 처분 대신 과징금만 부과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4월 11일 광주광역시 관계자에 따르면, 광주시는 매일유업 광주공장에 대해 영업정지 15일에 갈음하는 과징금을 부과한다고 매일유업 측에 통보했다. 과징금은 이후 매일유업 광주공장의 매출 가운데 이번에 문제가 된 ‘축산물가공업'에 해당하는 매출을 기준으로 산정되는데, 공장의 규모를 고려할 때 15일치 과징금의 상한선인 약 2억원을 부과받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2024년 12월 사태 당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광주공장에 대한 조사를 거쳐 광주시에 1개월의 영업정지 조치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후 4개월여만에 광주시는 식약처의 판단보다 절반 수준으로 감경된 최종 제재안을 내놨다 광주시 관계자는 “해당 공장이 문을 닫으면 지역 경제가 힘들어지고 선의의 피해자도 발생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매일유업 측은 “그동안 광주시와 광주식약청이 4회에 걸쳐 광주공장에서 생산된 유제품 370여건을 무작위 조사한 결과 이상이 없었다.”며 “지난 2월 말 공장 현장조사를 통해 HACCP 적합도 확인받았다.”고 설명했다
지난 4월 10일 현지 일간지 코리에레델라세라에 따르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프라다(Prada)가 베르사체(Versace)를 12억 5,000만유로(원화 약 2조 원)에 인수했다. 프라다는 이날 베르사체의 모회사인 미국 카프리 홀딩스(CAPRI Holdings)에게 베르사체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탈리아 고가 패션업게 1위인 프라다는 이번 계약을 통해 몸집을 키워 루이뷔통・크리스챤 디올・펜디 등을 보유한 프랑스의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구찌를 소유한 프랑스의 ‘케링’(Kering) 등과 본격적인 경쟁 명품 경쟁에 나설 예정이디. 프라다그룹 안드레아 구에라 최고경영자(CEO)는 “베르사체는 프라다그룹에 새롭고 상호 보완적인 가치를 더할 것.”이라며 “성공까지 긴 여정이 될 수 있으나 베르사체는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브랜드.”라고 강조했다.
Z세대 65%가 ‘마이크로 은퇴’를 시도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마이크로 은퇴는 정년을 맞아 일을 그만두는 은퇴와 달리 퇴사나 휴직으로 휴식기를 갖는 일시적 은퇴 방식을 의미한다. 이들이 마이크로 은퇴를 원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여행’이었다. 지난 4월 11일 채용 플랫폼 캐치에 따르면 Z세대 구직자 2191명 중 65%가 ‘마이크로 은퇴’ 방식을 더 선호한다고 답했다. 반면, ‘전통적 은퇴’ 방식을 선호한다고 답한 이들은 35%에 그쳤다. 마이크로 은퇴를 시도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60%가 시도하고 싶다고 답했고, ‘잘 모르겠다.’는 30%, ‘시도하고 싶지 않다.’는 10%로 나타났다. 마이크로 은퇴를 시도하고 싶은 이유로는 국내외 여행(50%)이 가장 많았다. 이어 ▲취미생활(15%) ▲휴식 및 건강 회복(11%) ▲자기계발(8%) ▲커리어전환(6%) ▲새로운 경제활동(5%) ▲가족・친구와의 시간(4%) 순이었다. 시도하고 싶지 않다고 응답한 이들은 가장 큰 이유로 경제적 공백(32%)을 꼽았다. 다음으로 ▲경력 단절 우려(30%) ▲커리어 정체기(17%) ▲장기계획 차질(14%) ▲사회적 인식 부담(5%) 등의 이유가 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