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대통령과 통화 후 최종 완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고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Truth Social)를 통해 밝혔다. 이날 트루스소셜에 올린 2개의 게시글과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로 떠나기 전 발언을 통해 “오늘 인도네시아의 존경받는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과 통화한 뒤 인도네시아와 중요한 무역 협상을 최종 타결했다”고 밝혔다 그가 밝힌 무역협상 타결 내용은 인도네시아는 미국에게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19%의 관세, 미국에서 인도네시아로 수출하는 상품은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면제된다. 인도네시아에 대한 이러한 관세율은 트럼프가 지난 4월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할 때와 지난 7일 공개한 관세 서한에서 적시했던 관세율 32%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과 새로운 협정을 맺은 아시아 국가는 베트남에 이어 인도네시아까지 2곳으로 늘었다. 가장 먼저 무역협정을 체결한 영국까지 더하면 총 3개 국가다. 트럼프는 “우리는 인도네시아에 완전한 접근권을 가지게 될 것이고, 앞으로 이와 비슷한 거래가 몇 건 더 발표될 예정이다
베트남 정부가 딸 두명을 둔 가정에 현금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베트남은 ‘남아선호 현상’으로 여아 100명당 남아 111명으로 출생 성비 불균형이 커지고 있다. 이에 2030년 남아 109명 목표로 ‘현금지원’이라는 정책을 추진했다. 실제 합계출산율을 보면 경악할 만하다. 1.91명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저출산 고령화와 더불어 출생 성비 불균형이라는 구조적 문제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다오 홍 란(Dao Hong Lan) 보건부 장관은 지난 11일 열린 세계 인구의 날 행사에서 지원안을 담은 인구법 초안을 공개했다. 인구법 초안에는 두 딸을 둔 가정에 현금 또는 지역 상황에 맞는 생활용품을 지원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란 장관은 “2022년 2.01명이던 베트남의 합계출산율은 이듬해 1.96명으로 줄어든 뒤 지난해 1.91명으로 사상 최저치까지 추락했다”며 “인구 감소와 남아 과잉이라는 이중고를 벗어나기 장기적으로 인구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각 가정 두자녀, 특히 여야를 낳도록 장려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당국은 출생 성비 불균형은 남아선호 현상에서 비롯되었다고 진단했다. 대를 잇기위해 아들이 있어야 한다는 관념과 조상숭배 유교문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30%의 상호관세를 오는 8월 1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7월 12일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이 같은 내용의 서한을 올렸다. 서한의 수신인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으로 날짜는 7월 11일로 적시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상호 관세율 첫 발표에서 EU에 대해 20%를 적용하기로 했지만 이날은 10%포인트 상향 조정한 새로운 상호관세율을 발표했다. 미국과 EU 협상팀이 최근까지 관세율과 비관세 무역장벽 등을 놓고 협상을 진행해왔지만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자 트럼프 대통령이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멕시코에 대한 상호관세율 또한 30%로 기존보다 5%포인트 올라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공개한 서한에서 “무역적자는 우리 경제, 그리고 사실은 우리의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이다.”라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7일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대한 서한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25건(24개국+EU)의 서한을 공개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7월 대규모 할인 행사인 '프라임 데이'(Prime Day) 기간 미국 온라인 상거래 매출이 3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 7월 12일 전자상거래 데이터 연구 업체인 어도비 애널리틱스(Adobe Analytics)에 따르면 ‘프라임 데이’ 기간인 지난 7월 8∼11일 미 온라인 매출은 241억 달러(33조 2,459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지난 2024년 같은 기간보다 30.3% 증가한 것으로, 당초 예측치였던 28.4%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 기간 아마존과 월마트, 타깃, 베스트바이 등 주요 유통업체들은 대규모 할인 이벤트를 잇달아 진행했다. 특히, 아마존은 기존 이틀(48시간)만 진행했던 ‘프라임 데이’ 기간을 올해는 두 배로 늘린 4일(96시간)간 진행하며, 의류부터 전자제품까지 다양한 품목에서 강력한 프로모션을 펼쳤다. 이틀간 진행한 지난 2024년 ‘프라임 데이’ 기간 온라인 매출은 전년보다 11% 증가한 142억 달러였다. 올해 프라임 데이 기간 온라인 매출의 53.2%가 모바일을 통해 이뤄져 예측치 52.5%를 상회했다. 미국 소매업체 전반의 할인율은 11%∼24% 사이였다. 로이터
“트럼프 서한을 받은 게 영광이다. 진심으로 감사하다” 미얀마 군사 정권 수장이 자국에 세율 40% ‘관세 폭탄’을 통보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되레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12일(현지시각) 미국 시엔엔(CNN)과 블룸버그 통신,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전날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은 트럼프의 관세 서한에 대한 답장을 미얀마어-영어로 공개했다. 그는 “트럼프가 군사정권의 정당성을 인정해줬다. 진정한 애국 정신으로 조국을 번영으로 이끈 트럼프의 강력한 리더십과 세계 무대서 평화를 증진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을 칭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하는 상호관세율을 적은 서한을 공개했고 대상에 미얀마도 포함됐다. 미얀마에 통보된 관세율(40%)는 태국-캄보디아(이상 36%), 방글라데시(35%), 인도네시아(32%), 말레이시아(25%) 등 주변 동남아시아 국가들보다 높았다. 그런데 그는 트럼프를 칭송하고 나섰다. 그 이유는 미국이 자신들을 미얀마의 공식 정부로 인정했다고 해석해서다. 그는 2021년 2월 아웅산 수치 전 국가고문이 이끌던 민간 정부를 군사 쿠데타로 전복하
지난 7월 13일 CU는 장어와 훈제 오리로 만든 보양 간편식 2종을 오는 7월 15일부터 출시한다고 밝혔다. CU가 출시하는 통 민물장어 정식(9900원)은 밥 위에 달걀지단을 올리고, 그 위에 데리야키 양념을 발라 구운 민물장어 한 마리를 통째로 얹은 덮밥 형태의 음식이다. 훈제오리 정식(6900원)은 기름기를 뺀 훈제오리에 무쌈을 함께 곁들여 먹는 도시락 형태다 CU는 이 밖에도 대표 보양식 메뉴인 삼계탕 등 HMR(가정간편식), 즉석조리 치킨, 관련 면 상품에 대해서도 7월 한 달간 할인 및 증정 행사를 진행한다. 복날 수요가 높은 프라이드 치킨(10,900원)과 순살치킨 바스켓(9,900원) 등 치킨 한 마리 상품들은 일괄 2000원 할인이 적용된다. CJ 비비고 삼계탕(19,800원)은 1+1 증정을, 하림 더미식 닭다리 삼계탕(1만원)은 2,000원 할인을 통해 1인분에 1만원이 안 되는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또 풀무원 사골 양지 설렁탕, 나주식 수육 곰탕, 정통 도가니탕(각 9,900원)도 교차 1+1 행사를 진행한다. 시나모롤 초계국수를 구매하면 컵얼음을 추가 증정한다. 이 밖에도 하림 삼계탕면과 오늘의 닭곰탕/닭개장(각 2,800원)
프랜차이즈 주점 브랜드 역전할머니맥주(할맥)는 지난 8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첫 해외 매장을 열며 글로벌 외식시장에 진출했다. 이 매장은 120석 규모로 자카르타 남부의 핵심 상권인 세노파티의 단독 건물에 들어섰다. 1월 체결된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기반으로 추진되었다. 동남아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역전할머니맥주는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은 인도네시아 시장의 특성을 반영해 한식의 매력을 유지하면서 필수적인 요소만 현지화하는 전략을 채택했다. 무더운 기후에 맞춰 염도와 당도, 매운맛을 높이고 종교적 특성을 고려해 돼지고기 메뉴는 원재료를 닭고기 등으로 변경했다. 역전할머니맥주는 올해 안에 자카르타에 매장을 3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아세안 주요 국가 진출도 준비 중이다. 또 미국 캘리포니아 풀러턴 지역에서 마스터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고 연내 미국 1호점 매장 개점을 추진하고 있다. 역전할머니맥주의 운영사인 역전에프앤씨는 2022년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케이스톤파트너스에서 투자를 유치했으며 올해 가맹점이 1천호점을 넘었다. 역전할머니맥주의 모태는 1982년 전북 익산역 앞에서
‘세븐틴 [라잇 히어] 월드 투어 인 시네마’가 CGV 그랜드 인도네시아(CGV Grand Indonesia·이하 CGV GI)에서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K-POP 그룹 세븐틴의 월드 투어 콘서트 현장을 담은 실황 영화다, 지난 4월 19일 (현지 시각) 개봉된 첫날부터 대부분 상영관이 매진됐다. 특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중심부의 대형 복합쇼핑몰 ‘그랜드 인도네시아(Grand Indonesia)’. 평일 오후임에도 이곳 8층 CGV 로비가 뜨거운 함성과 환호로 들썩였다. 앳된 얼굴의 관객들이 손에 응원봉, 미니 현수막, 한국어 팻말, 인형 등을 들고 속속 모여들었다.로비부터 공연장까지 이어지는 현장의 떼창 열기에 이곳이 영화관인지 콘서트장인지 헷갈릴 정도였다. 로비 중앙에서는 노래방 이벤트가 진행돼 분위기를 띄웠다. K-POP 팬들이 한 명씩 마이크를 잡고 한국어 노래를 열창했다. 한국어 가사를 외우기 어려워 하는 관객들을 위해 대형 스크린에 영어로 풀어 쓴 가사가 올라왔다. ‘새로운 것, 새로운 폼’이란 가사를 ‘Saeroun geot, Saeroun Form’으로 표기하는 식이었다. 마이크를 잡지 않은 관객들도 스크린 속 세븐틴의 곡에 맞춰 일제히 환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