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김효근 칼럼] 베트남서 ‘제2의 박항서’ 스토리를 쓰자

베트남 공유오피스 캠퍼스K 대표...새로운 ‘50플러스’ 플랜 제안

베트남이 뜨겁다. 지난 10년간 평균 경제성장률 6%로 달리더니 지난해에는 7%를 넘어섰고, 최근 S&P는 베트남의 국가 신용도를 9년만에 한단계 상향조정했다. 과거 한국의 성장시대를 보는듯하다.

 

특히 일부 산업분야 즉, 우버그랩으로 대표되는 차량공유 산업이나 각종 페이 사용은 한국보다 앞섰다는 평가를 받는다.

 

베트남은 2차 3차산업이 성숙할 사이없이 곧바로 4차산업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는 파괴할 기존 산업들이 존재하지 않기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1980년대의 개발 한국과 2020년대 IT한국이 공존하는 나라가 된 것이다.

 

소비재, 원부자재 및 산업기계의 70%가 중국으로부터 넘어온다. 자체적으로 밸류체인을 완성시킬 내부적인 유인이 적은 이유이다. 그러하기에 한국의 한계산업 분야들이 베트남에서 다시 살아나서 제2의 각광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인 것이다.

 

우리 같은 50, 60대들에게는 산업화를 압축적으로 이끌어낸 빛나는 경험이 있다. 시대가 바뀌어 점점 퇴색되어가는 전문가로서의 이력에 새로운 활기를 베트남에서 찾을 수 있다. 새로운 ‘50플러스’ 플랜을 만들어갈 만한 곳이다.

 

나이를 따지지않는 수평문화와 한국에서 배우고자하는 열의가 큰 그들에게 기술을 전수하며 완숙한 프로페셔널로서의 자긍심을 되찾자. 아직도 쓸만한 자기를 발견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보람도 느낄 수 있다.

 

산업분야 곳곳에서 ‘작은 박항서’들이 나올 수 있는 환경이다. 적어도 70 은퇴 이후에 베트남에서 모은 돈으로 아파트라도 한 채 사서 그 월세소득으로 노년을 따뜻한 날씨의 남국에서 일년의 반을 자연과 함께 보내는 로망을 실현할 수도 있다.

 

베트남 사람들은 한국인들을 좋아한다. 박항서 감독의 축구신화, K팝 그리고 뷰티 등의 문화산업이 이끄는 한류 열풍이 그 배경이다.

 

베트남은 투자할 만하다. 중국에 이은 글로벌 생산기지 베트남은 GDP 300조, 인구 6억의 거대시장 아세안 진출의 교두보다. 이미 8000개의 한국기업이 들어와 있다.

 

앞으로 베트남은 크게 성장하여 경제문화사적으로 동남아라기보다는 동북아시아의 한-중-일-베, 4국으로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큰 이유는 민족성에 있다. 베트남인들은 스스로 근면, 성실, 인내, 친절, 용기를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며, 몽골로부터 시작하여 미국, 프랑스, 중국, 일본등의 외세에 굴복하지 않은 전승의 역사를 아주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 그 자부심은 대단하다.

 

가끔 현지인들을 만나서 대화중에 한국의 베트남 참전 얘기가 나오면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는데, 미안함을 느끼는 우리를 대하는 그들의 태도는 의외로 호방하다.

 

전쟁에서 이긴 쪽은 베트남이고 패전국 미국에 이끌려온 한국군과 전쟁 과정에서 불상사가 있었지만 그것은 있을 수 있는 일들이라며 오히려 이해한다는 듯 행동하기 때문이다..

 

언제 적 월남이라고? 베트남에서 살아보기 전 내 기억 속의 베트남은 전쟁의 폐허와 최근 농어촌으로 시집온 다문화가정 정도 이미지인 ‘월남’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명석하고 자부심이 강하며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잘 만들어가는 세련된 문화를 가진 가능성이 큰 나라라는 기억으로 대체되는 중이다. 저녁식사 모임에 으레 이브닝드레스를 따로 챙겨와서 파티를 즐기는 그 ‘벳.남.인’들이 부럽다.

 

김효근 베트남 공유오피스 캠퍼스K  파트너 sid@campus-k.com

 

 김효근 대표

 

 성균관대학교 환경공학과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서울시 개발과

 이노베이션 허브 하노이 기획자

 소셜벤처파트너스 서울 설립자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