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핫피플] 퇴직하는 정환승 교수 ‘태국 담장 너머의 역사’로 마침표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교수...5년간 공들여 ‘란나왕국’ 탐방 역작 탄생

 

정환승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언어학자다. 태국어과 교수로 한국-태국 정상회담에서 통역을 맡을 정도로 안팎으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그의 관심은 언어에 머물지 않는다. 대표적인 것이 2019년에 펴낸 ‘황톳길 위에서 미소를 만나다’다. 쑤코타이, 아유타야, 톤부리, 그리고 랏따나꼬신(방콕)왕조의 유적지를 돌아본 여행기다. 태국의 문화유산답사기인 셈이다.

 

태국을 단순히 언어를 넘어서 사회와 문화 그리고 역사에 폭넓게 들여다보는 그가 이번에는 ‘담장너머의 태국, 치앙마이-치앙라이 오디세이’를 5년간 공을 들여 출간했다.

 

정년 퇴임이 다가오면서 새로운 ‘태국의 문화유산답사기’ 집필을 계획했고 해낸 것이다. 태국의 북부지방에 존재했던 란나를 찾아갔다. 2018년 자료수집 시작부터 1차, 2차답사 등 처음부터 끝까지 아내와 여행하고 탐방했다.

 

이 책이 더욱 특별한 것은 지난 6월 치른 정년퇴임식을 앞두고 출간되었다는 것이다. “태국어과에 입학한 1983년부터 정년퇴임하는 2023년까지 태국어와 태국문화에 홀린 듯이 살아왔다”는 정환승 교수.

 

졸업했거나 수업받고 있는 제자들과 그를 아꼈던 지인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그의 퇴임식을 준비하고 치러주었다. "한태관계발전에 이바지할 ‘역사적 사명’을 띠고 태국어를 전공한" 그에게 이 책은 교수 마침표를 찍는 특별한 책이 되었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정환승 교수로부터 ‘담장너머의 태국, 치앙마이-치앙라이 오디세이’의 출간 의미, 정년퇴직의 소회, 앞으로의 행보를 물어봤다. 일생을 걸어온 ‘태국어 교수’라는 천직을 마무리하는 그의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마당넓은 집의 ‘우물’처럼 웅숭 깊었다.

 

■ “한국인 180만-태국인 50만 ‘상호방문’...태국 문화와 역사 들여다보고 싶었다”

 

Q. ‘치앙마이-치앙라이 오디세이, 담장너머의 태국’라는 책을 집필하게 된 계기와 책이 나오기까지 얼마나 걸렸나?

 

A. 언어학을 전공한 언어학자로서 그동안 주로 태국어 관련 논문을 집필하고 태국어 교재나 학습사전 등을 주로 집필해왔다. 언어는 문화를 반영한다. 태국어 속에 담겨 있는 태국 문화에 관심을 갖고 언어문화에 대한 논문을 쓰면서 나중에 기회가 되면 태국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역사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고 폭넓게 들여다보고 싶었다.

 

한국과 태국간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태국을 찾는 한국인이 180만명을 넘어섰다. 한국을 찾는 태국인이 50만명을 넘어서는 시대가 왔다. 그래서 2017년에 태국의 쑤코타이, 아유타야, 톤부리, 그리고 랏따나꼬신(방콕)왕조의 유적지를 돌아보고 태국의 문화유산답사기 ‘황톳길 위에서 미소를 만나다’를 집필하여 2019년에 출간했다.

 

 

그러나 태국의 북부지방에 존재했던 란나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내용은 이 책에 담지 못했다. 그래서 2019년부터 다시 태국 북부지방을 여행하고 탐방하여 또 한권의 태국의 문화유산답사기 “담장너머의 태국, 치앙마이-치앙라이 오디세이”를 집필하여 출간하게 되었다.

 

2018년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나서 1차 답사에서는 치앙마이와 치앙라이를 돌아보았다. 그리고 2022년에 다시 치앙마이-람푼-람빵-프래-난-파야오-치아쌘-치앙라이를 돌아보며 2차 답사를 마쳤다. 원고 집필과 수정, 보완 그리고 편집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이번에 책으로 출간되었다. 답사를 포함한 전체 기간은 5년이지만 답사는 3년 반, 그리고 집중해서 집필한 기간은 1년 6개월 정도다.

 

■ 결핵말기 환자인 가난한 유학생과 결혼 헌신적인 내조...아내와의 답사 추억 고스란히

 

Q. 교수님이 페이스북에서 이 책을 소개한 대목 중 눈길을 간 문장 하나가 있었다.

 

“3년 남짓한 시간을 두고 두어 차례 아내와 함께 치앙마이-람푼-람빵-프래-난-파야오-치앙쌘-치앙라이의 여덟 곳의 고도(古都)를 돌아보며 탐방하고 기록했다." 올해 정년을 하면서 “아내와 함께 동행해 교수 생활을 아름답게 마무리”한 듯하다. 이 책의 출간의 개인적인 의미를 듣고 싶다. 

 

 

A. 유학시절 건강을 잃어 폐결핵으로 고생을 많이 했다. 아내는 결핵말기 환자인 가난한 유학생과 결혼하여 유학생 남편을 간호하면서 헌신적인 내조를 해왔다. 정년 퇴임이 다가오면서 태국의 문화유산답사기 집필을 계획하게 되었다.

 

평소 태국을 좋아하던 아내는 기꺼이 동행하면서 같이 사진도 찍어 주고 조언도 해주었다. 그리고 초고를 여러 차례 읽어주며 오탈자를 수정해주었다. 더운 나라에서 연일 계속되는 탐방길이 마냥 즐겁기만 한 것은 아닌데 아내는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해주었다.

 

그래서 나의 태국문화유산답사기에는 아내와의 추억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책이 출간되어 나오자 아내가 목차부터 꼼꼼히 살펴보면서 “이런 책을 쓰다니 젊어서 고생한 보람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동안 ‘고생만 시킨 아내에게 내가 마련한 작은 선물’인 것 같아 나도 덩달아 기분이 좋았다.

 

 

■ “태국 역사서 소홀히 다뤄지는 란나 왕조는 ‘담장 너머의 태국’”

 

Q. 란나 왕조는 13세기에 태국의 북부 지방에 등장하여 또 다른 패권을 구축했다. 치앙마이와 치앙라이를 중심으로 과거 이 지역의 소왕국으로 존재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국 역사에서 소홀히 다루고 있다. ‘치앙마이-치앙라이 오디세이’라는 부제가 달린 ‘담장 너머의 태국’이라는 책 제목의 의미를 설명해달라.

 

A.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나는 언어학자다. 한국에서 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이나 태국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인들도 태국의 역사를 쑤코타이-아유타야-톤부리-랏따나꼬신 왕조로 알고 있다. 마치 우리나라 역사를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흐름으로 보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태국의 북부지방에서는 쑤코타이 왕조가 들어선 13세기부터 란나 왕조가 들어서서 또 다른 패권을 구축하면서 랏따나꼬신 초기까지 명맥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태국 역사에서 이 부분은 누락되거나 매우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담장 너머의 태국’이라고 이름붙인 것이다.

 

 

■ “한국인이 알지 못한 태국의 매력은 여유와 미소”

 

Q. 교수님은 언어학자다. 그런데 태국의 언어문화에 대해 연구하면서 나중에는 오히려 태국의 역사와 문화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들었다. 한국인이 알지 못한 태국의 매력, 특히 태국의 역사와 문화를 몇 가지만 소개해달라.

 

A. 한국인들에게 없는 태국인들의 여유와 미소, 태국의 매력은 한마디로 말하자면 “여유와 미소”일 것이다. 태국인의 여유와 미소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아마도 종교적으로는 인과응보와 윤회설에 기인한 바 크다. 현세의 삶은 전생의 과업으로 이미 정해져 있는 까닭에 어찌할 수 없으므로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선업을 쌓으며 내생에서의 나은 삶을 기약하는 것이다.

 

 

이런 불교적 사고방식은 태국인에게 낙천적인 삶을 안겨주는 한편 수동적인 삶의 자세를 갖게 해주었다. 태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마이뻰라이(괜찮다)도 이와 무관해보이지 않는다.

 

지리와 기후적 요인은 또 다른 차원에서 태국인들에게 여유와 미소를 갖게 했다. 18세기경 서양인들의 시각에서 기록해 놓은 것을 보면 태국의 땅은 토양이 좋아 애써 일하지 않아도 수확이 좋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래서 씨만 뿌려 놓으면 우기에 비가 내려 농작물이 저절로 자라고 기후도 온화하여 벼가 빨리 자라는데 역설적으로 이런 기후 조건이 오히려 이곳 농부들을 게으르게 만들어 놓았다고 한다.

 

실제로 풍부한 강수량과 3모작까지 가능한 조건 속에서 태국인들이 여유를 가지고 살아올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마이뻰라이” 다음으로 자주 사용하는 말이 짜이옌옌(서두르지마!)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한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수고하세요”, “잘먹겠습니다” 같은 인사말은 태국어에 없다. 아등바등 살지 않아도 되는 태국인의 낙천주의적 삶과 굶주림을 모르고 살아온 풍요 속에서 태국인들은 늘 미소를 띠고 있다.

 

이러한 태국인들의 여유와 미소는 매사에 “빨리빨리”를 외치며 음식점에서 “아무거나 빨리 되는 것으로 주세요” 하고 주문하며 살아온 한국사람들의 시각에서 보면 “나태하고 게으른 사람들이 띠고 있는 악마의 미소”로 잘못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 “아는 만큼 보인다” 치앙마이의 왓프라탓더이쑤텝 사원도 미리 공부하고 가라

 

Q. 한국에서 치앙마이는 몇 년전부터 ‘한달 살기 열풍’의 핫플레이스다. 기자도 지난 3월 초 다녀왔다. 해발 300미터는 “사람이 살기 좋은 가장 높이”인데 선선한 고산지대로 슬로우시티로 주목받았다. 이와 함께 문화유적과 불탑 등 스토리가 있는 도시였다.

 

한국 독자를 위해 교수님이 현대적인 도시인 치앙마이와 치앙라이를 황금사원'으로 불리는 왓프라탓 도이수텝 사원 등 관광지와 국민관광지로서 짚어달라.

 

A. 태국의 사원과 불탑 등의 불교 건축물은 그냥 가서 보게 되면 모두가 비슷해 보이고 더운 날씨에 하나하나 꼼꼼하게 살펴보기 어렵다.

 

 

크고 작은 사원들은 모두 나름대로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하고 있어 특별한 하나를 꼽기 어려운 면이 있다. 그래도 시간적 제약이 있어 대표적인 사원을 꼽으라면 치앙마이의 왓프라탓더이쑤텝 사원, 람푼의 왓싼빠양루앙 사원, 람빵의 왓프라탓람빵루앙 사원, 프래의 왓프라탓처해 사원, 난의 왓푸민 사원, 파야오의 왓띠록아람 사원, 치앙쌘의 왓빠싹 사원, 치앙라이의 왓렁쿤 사원 등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사전에 어느 정도 학습을 하고 가야 한다는 것이다. 흔히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한다. 무턱대고 그냥가면 제대로 보지 못하고 더운 날씨만 탓하고 올 수도 있다.

 

■ “지난 40년간, 돌아보면 아름다운 추억...‘역사적 사명’을 띠고 태어난 듯하다”

 

Q. 재직 기간은 8월 말이지만 정년 퇴임식을 하셨다.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씀하신 퇴임식을 하면서 교수로서의 많은 소회가 많을 것 같다.

 

A. 사실 개인적인 사정으로 5년간의 군생활을 마치고 1983년에 뒤늦게 외대 태국어과에 입학했다. 늦깎이 공부를 한 셈이다. 그런데 우연히도 내가 태어난 1958년 10월 1일이 한국과 태국이 공식 수교한 해이다.

 

 

태국적으로 해석하면 태국과 특별한 인연이 있었을 수도 있고 한국적으로 보면 한태관계발전에 이바지할 “역사적 사명”을 띠고 태국어를 전공으로 선택한 것일 수도 있다. 특수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고 싶었던 욕심도 있었던 것 같다.

 

태국어과에 입학한 1983년부터 정년퇴임하는 2023년까지 태국어와 태국문화에 홀린 듯이 살아왔다. 그래서 가끔은 나의 삶이 태국인으로 살면서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꿈을 꾸는 것인지, 아니면 한국인으로 살면서 태국인으로 살아가는 꿈을 꾸는 것인지 헛갈릴 때도 있다.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저도 이런 '호접지몽(胡蝶之夢)' 속에서 살아온 지난 40년간의 삶을 돌아보면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을 것이다. “젊은이는 꿈을 꾸며 살아가고 늙은이는 추억을 가지고 살아 간다”고 한다. 태국어와 태국문화 연구에 최선을 다해서 살아온 삶과 추억이 있어 남은 삶도 이를 돌아보며 즐겁게 살아갈 수 있을 것 같다.

 

■ “남이 좋다고 하는 것을 선택하지 말고 내가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라”

 

Q. ‘달려온 거리는 말(馬)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살아온 시간은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증명한다’는 태국 속담이 있다. (ระยะทางพิสูจน์ม้า กาลเวลาพิสูจน์คน)고 페이스북에 포스팅을 하셨다. 정년 퇴임식을 대변하는 말이었다. 교수님이 고별 강연에서 동료와 후배, 친구 등에 강조하고 싶었던 점을 소개해달라.

 

 

A. 성공적인 삶은 후회가 없는 삶이라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좋아하는 것과 남보다 더 잘할 수 있은 것을 선택하면 된다.

 

한국외국어대학교가 내걸고 있는 캐치프레이즈 중의 하나가 유니크와 베스트(Unique&Best)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말이기도 하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선택해서 그 선택에 최선을 다하면 된다. 흔히 노력은 강조하면서 선택의 중요성은 간과하기 쉽다.

 

남이 좋다고 하는 것을 선택하지 말고 내가 좋아하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은 없다. 나는 누구를 흉내 낸 삶이 아닌 나다운 삶을 살아야 한다.

 

■ 한류는 태국에서 확고한 문화현상, 영화-드라마 자막 또는 더빙 수준높여라

 

Q. 태국은 리사라는 글로벌 최고인기 한류 걸그룹 ‘리사’의 고향이다. 그래서 다른 나라보다 한류가 세다. 이 같은 문화적인 흐름이 한국과 태국의 교류로 확대와 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류를 계속 이어가고 한국과 태국의 전통적인 관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야 할 방법이 있으면 소개해달라.

 

A. * 제가 2020년에 한류나우_vol.40 에 기고한 내용 중 답변이 되는 내용이 있어 여기에 옮겨 적는다.

 

“태국에서 한류는 당분간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한류의 인기 예상 지속 시간에 대한 태국인 대상 설문조사에서 약 1~2년으로 답한 사람이 27.6%, 3~4년 24%, 5~9년이 19.2%로 나왔다. 그러나 한류가 오래 지속되기 위해서는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호감을 저해하는 요인에 주목해야 한다.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 그리고 K-POP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는 한국어가 어렵고 생소하다는 것이다. 태국인에게 한국어는 한국 문화콘텐츠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이다.

 

태국에서 한국어 교육은 1986년 시작되어 현재 12개 대학에서 한국어과가 개설되고 중고등학교 과정에서는 태국 전역의 165개 교에서 4만 5905명의 학생이 200여명이 넘는 태국인 교사로부터 제2외국어로 학습 중이다.

 

2018년부터는 대학입학 수능시험의 제2외국어 과목으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한국어 교육의 성과가 한류의 확산과 지속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한국 음악의 노랫말은 물론 영화나 드라마의 자막 또는 더빙 등이 좀 더 수준 높게 이루어져야 한국 문화에 대한 이질감을 극복하고 이해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다. 한국어와 더불어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일 또한 매우 중요하다.

 

한국어 외에 또 하나의 문제는 한국 문화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획일성을 벗어나 다양한 소재와 장르를 개발하는 일이다. 한국과 태국은 불교문화를 공통분모로 하는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 태국은 13세기 이후 국민의 대대수가 소승불교를 신봉해온 불교국가다.

 

한국은 고려시대까지 불교를 신봉하다가 조선시대부터 억불숭유 정책을 폈다. 그러나 불교적 사고나 정서는 그대로 남아 있다. 불교적 요소는 한국과 태국 문화의 동질성으로 작용한다. 한국의 유교문화는 태국인에게 이질감을 줄 수 있으나 그들과 다른 한국 문화의 독창성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태국은 외국문화 수용에 있어서 개방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어 한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편이다. 문제는 양국 문화의 동질성과 한국문화의 독창성에 기반한 문화콘텐츠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일이다.

 

몇 년 전 쁘라윳 총리가 계엄 사령관이었던 시절에 태국인들의 지나친 한국 사랑에 대해 불만을 표출한 적이 있다. 그는 “한국에 빠져서 내리 한국으로 여행을 다니고 한국 연예인에 미쳐 있는 사람들… 한국으로 날아가서 한국 음악 듣고 한국 음식 먹는 사람들… 그러면서 태국 음식은 먹지 않는 사람들..그런 사람들이 과연 태국인이 맞는가?” 하고 일갈했다.

 

아무래도 태국의 국가 지도자 입장에서 보면 태국인들이 너무 한국에 빠져드는 것이 조금 우려가 되었던 모양이다. 그러나 이러한 쁘라윳 총리의 우려는 아직도 진행 중에 있다. 한류가 태국에 상륙한 지 스무 해가 되었다. 이제 한류는 태국에서 확고한 문화현상으로 자리잡았다. 이제 한류의 확장과 지속 방안에 대해서 깊이 있게 고민할 시기가 되었다.“

 

 

■ 9월 1일부터 랑씻대학교 한국어과서 한국어 강의...한태관계발전 나의 길 모색

 

Q. 정년 퇴직 이후 인생 후반전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특히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교수님 재직 중 한국과 글로벌에서 관광적이고 경제적이나 정치적으로 핫한 플레이스가 되었다. 앞으로 아세안 관련, 하고 싶은 일이 있으시면 소개해달라.

 

A. “배운 게 도둑질”이란 말이 있다. 유학생활하면서 태국의 쏭클라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의를 5년간 한 적이 있다. 그때 처음으로 태국어로 된 한국어 문법교재와 회화 교재를 썼다. 그때부터 늘 한국어와 태국어를 비교 분석하는 삶을 살아왔다.

 

언어는 가장 효율성이 높은 의사소통수단이다. 그래서 언어교육에 관심이 많다. 정년 후에 다른 일보다는 태국에서 한국어를 강의하는 것이 내게 가장 적합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좋아하는 일이고 남들보다 잘할 수 있는 일이라고 믿는다.

 

마침 태국의 랑씻대학교에서 초빙하고 싶다는 제안이 들어와서 올 9월 1일부터는 랑씻대학교 한국어과에서 한국어를 강의하게 되었다. 이제부터는 태국의 대학생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일로 한태관계발전에 이바지하고 싶다.

 

 

■ “후배나 학생들, 외국어 능력에다 정치-경제-사회-문화 영역 넓혀야 경쟁력”

 

Q. 한국외국어대학교는 한국에서 가장 글로벌 문화가 오픈되어 있다. 앞으로 아세안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했으면 좋을 것 같나. 후학들이나 후배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것은?

 

A. 한때 외국어 구사능력 하나로 경쟁력이 되고 직업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시대가 있었다. 그만큼 옛날에는 특정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귀했다. 그러나 지금은 외국어 습득이나 학습이 보편화되어 버렸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한국의 국제적 지위와 위상이 높아지면서 지구촌 곳곳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익히는 외국인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태국의 경우 이미 13개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으로 개설하고 2016년부터 대입 외국어 선택과목으로 한국어를 선택하게 되었다. 이들 모두 외대 학생들의 잠재적 경쟁자들이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는 AI가 외국어 교육 영역을 침범해들어 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국어 구사 능력은 더 이상 과거와 같은 값어치를 지니지 못한다. 따라서 외국어를 익히되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으로 존재가치를 넓혀 나가야 한다. 우리는 이제 이중전공제도를 활용하여 하나의 외국어에 또 하나의 능력을 더해야 하는 1+1 시대에 살고 있다.

 

■ 딸은 베트남 특파원, 2대가 동남아와 인연...“아빠는 늘 보고 배울 수 있던 롤모델”

 

Q. 교수님은 아세안 전공의 학자다. 그런데 따님이 기자로서 베트남 특파원(정리나, 아시아투데이 베트남 특파원)·으로 선임되어 2대에 이어 동남아와 인연이 있다. 따님이 아세안 관심을 갖게 된 것이 교수님의 영향도 있을 것 같다. 따님의 장점과 특파원으로 따님이 해봤으면 점은?

 

A. 아이를 키우면서 아이들에게 어떤 선택을 강요하거나 내가 그 선택을 대신 한 적이 없다. 아마도 커가면서 아버지의 삶을 지켜보고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부분은 있었을 것이다. 지난해에 아이(리나)가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보면 그런 생각이 든다.

 

 

Hom nay bo duoc trao bang tien si vinh du cua Dai hoc Hoang tu Songkhla. Hinh mau cua con luon la bo, nguoi dang kinh trong thu 0 cx la bo va day la niem hanh phuc va niem vui quy nhat cua cuoc doi cua con! (Nhung bo oi, bo cam 2 bang tien si de lam a? Cho con mot bang tien si de con ket thuc cai su kho khan cua NCS nay!!!)

 

우리집 아저씨가 오늘 (코로나19로 많이 밀렸지만) 태국 왕립 쏭클라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으셨다. 어릴 적 아부지는 늘 내 등교시간 즈음에야 일어나셔서 느즈막히 아침을 드시거나 세상 여유롭게 신문(어느 순간부턴 인터넷)이나 보고 계셨다.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 아부지는(얼마 전 아울렛 세일에서 역대급으로 야심차게 득템한 추리닝보다도) 편한 복장으로 책이나 글 좀 읽으시다가 부엌에 나와 사부작사부작 주전부리를 챙겨 들어가시고 배나 좀 긁고 그러시다가는 저녁 7~9시 사이에 칼취침을 하러 들어가셨랬다.

 

어릴 적 눈에 보인 것이라곤 이런 모습이니 아 공부를 계속하면 재밌는 책 계속 읽으면서도 저렇게 꿀 빨 수 있구나(!!!) 싶었다. 대학원 와보고 나서야 그제서야 아버지가 초저녁 칼취침 후(나도 잘 아는데... 보통 이때쯤 기력이 남아있지 않더라...) 새벽 3~4시 즈음 한번 일어나셔서 공부를 하시곤 7시쯤 잠깐 눈 붙였다가 학교 가는 자식들 본다고 일어나셨다는 것을...

 

내가 학교에서 열심히 땅따먹기 구슬치기 딱지치기하고 떡볶이 사먹고 술 마시고 다닐 때 아부지는 안 보이게 공부하셨다는 것을 뒤늦게야 알았다. 고생 안하는 부모 없다지만... 그렇다... 개고생 안하는 연구자는 더 없는 것이었다...

 

요즘 심정으론 사기당했어 흑흑 책임져 대감집 노비나 할 걸 하며 멱살잡이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지만 어릴 적부터 늘 보고 배울 수 있던 롤모델이자 우상이 바로 옆에 있었다는 것이 얼마나 큰 행복이고 행운인지.

 

아버지가 태어나신 1958년은 한국과 태국이 수교한 해다. 내가 태어난 1992년은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한 해. 하여튼 아부지랑은 밥그릇 싸움 할 수 없다며 베트남으로 왔으니 미친 듯이 나태해졌던 나도 뭐라도 해야지 하는 마음과 열정이 다시 샘솟는다. 근데 박사학위 두 개나 들고 있어서 뭐하지.. 진짜 도의적으로 인류애적으로다가 하나 나눠주고 이 고통을 끝내는 게 공공선을 위해 더 바람직한 것이 아닐까요???

 

 

유학 생활을 거쳐 교수나 연구직으로 자리잡는 일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어서 지금까지 자식이나 제자들에게 유학을 권유한 적은 없다. 그러나 스스로 유학을 선택할 경우 필요한 조언과 격려는 해주었다.

 

딸아이의 경우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고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쪽을 흥미로워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베트남어과를 졸업하고 베트남에서 석사를 마치고 현재는 박사과정 중에 있다.

 

아시아투데이 하노이 특파원이기도 해서 딸아이가 쓴 기사를 접할 기회가 많다. 딸아이의 글을 보면 최소한 아비보다는 낫다는 생각이 든다.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다. 공부도 더하고 연구도 많이 해서 베트남을 누구보다 깊이 있게 들여다 볼 수 있는 학자로 성장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 “‘담장너머의 태국’...책 끝부분 ‘란나의 역사와 문화’ 먼저 읽으면 이해 더 쉬울 것”

 

Q. 마지막으로 ‘담장너머의 태국’을 어떻게 읽으면 더 재밌다는 교수님의 특급 팁을 소개해달라.

 

A. ‘담장너머의 태국’은 역사문화기행문이다. 따라서 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어느 정도 지식이 있어야 더욱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는가?

 

란나 왕국의 역사에 대한 한국어 자료를 접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책의 끝부분에 부록 형식으로 란나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여 서술해 놓았다. 이 부분을 먼저 읽고 다시 앞으로 돌아와 처음부터 읽으면 내용을 이해하기 좀 더 쉬워질 것이다.

 

 

정환승 교수 프로필

 

정환승 교수는 1987년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를 졸업하고 1995년 태국 쏭클라대학교 대학원에서 태국어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통번역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장 및 통번역대학장, 그리고 한국태국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태국의 언어와 문화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이 분야에 대해 많은 논문과 저서를 집필하였다.

 

[정환승 교수 연보]

 

▲ 학교

1974년 금오공업고등학교에 입학하여 1977년 2월에 졸업

1983년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입학, 1987년 문학사 취득

1993년에 태국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2000년 2월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 취득

 

1990년부터 1995년까지 태국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파견교수 역임

1996년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통번역학과 교수로 부임

2011~2013년 자유전공학부장

2016-2017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장 및 통번역대학장

 

▲ 교외 활동

2017~2018년에 한국태국학회 회장

2015년부터 2021년까지 7년간 사단법인 bbb 코리아 태국어위원장

2019년부터 현재까지 태국 랑싯대학교 한국어교육 자문위원

 

한태 정상 회담 통역, 정부 및 민간 기관에서 태국의 언어와 문화를 소개하는 특강

EBS 교육방송 태국을 소개 ‘세계테마기행’, ‘동남아 한달살기’ 프로그램의 큐레이터 출연

 

 

1999년 4월 태국 추안 릭파이 총리 방한 시 한태 정상회담 및 확대회담 통역 및 김대중 대통령 초청 만찬 통역

2003년 7월 태국 탁씬 친나왓 총리 방한 한태 정상회담 및 확대회담 통역 및 노무현 대통령 초청 만찬 통역 수행

2005년 5월 태국 탁씬 친나왓 총리 방한 한태 정상회담 통역

 

▲ 저서 및 논문

 

“태국어의 사동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과 태국의 언어문화 비교연구”, “태국 문화 속에서 물의 의미에 관한 고찰” 등을 비롯한 62편의 논문을 집필

 

『태국인을 위한 한국어 입문』, 『현대 태국어 문법론』, 『한국어-태국어 어휘학습 바이블』, 『한태 동사구문학습 바이블』(공저), 『태한 동사구문학습 바이블』(공저), 『태국어 문형학습 바이블』(공저),

 

『태국 다이어리, 여유와 미소를 적다』(공저), 『태국역사문화기행-황톳길 위에서 미소를 만나다』, 『태국들여다보기』 『 태국역사문화기행-담장 너머의 태국, 치앙마이-치앙라이 오디세이』 등 26권의 저서 집필

관련기사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