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트럼프 “인도네시아와 관세협정 ‘32%에서 19%로’ 타결”

대미 관세는 ‘0’...아시아 국가는 베트남에 이어 인도네시아까지 2곳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통화 후 최종 완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고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Truth Social)를 통해 밝혔다.

 

이날 트루스소셜에 올린 2개의 게시글과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로 떠나기 전 발언을 통해 “오늘 인도네시아의 존경받는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과 통화한 뒤 인도네시아와 중요한 무역 협상을 최종 타결했다”고 밝혔다

 

그가 밝힌 무역협상 타결 내용은 인도네시아는 미국에게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19%의 관세, 미국에서 인도네시아로 수출하는 상품은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면제된다.

 

인도네시아에 대한 이러한 관세율은 트럼프가 지난 4월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할 때와 지난 7일 공개한 관세 서한에서 적시했던 관세율 32%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과 새로운 협정을 맺은 아시아 국가는 베트남에 이어 인도네시아까지 2곳으로 늘었다. 가장 먼저 무역협정을 체결한 영국까지 더하면 총 3개 국가다.

 

트럼프는 “우리는 인도네시아에 완전한 접근권을 가지게 될 것이고, 앞으로 이와 비슷한 거래가 몇 건 더 발표될 예정이다. 인도 역시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협정을 통해 “인도네시아가 미국산 에너지 구매에 150억 달러(약 20조8천억원), 미국산 농산물 구매에 45억 달러(약 6조2천500억원), 대부분이 777 모델인 50대의 보잉 항공기를 구매하기로 약속했다”고도 전했다.

 

 

미국과 인도네시아의 무역 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약 400억 달러(약 55조5000억원)로 상위 15위권에는 들지 않지만, 성장세에 있다. 지난해 미국의 인도네시아 수출은 3.7% 증가했다. 수입은 4.8% 증가해 미국은 약 180억 달러(약 25조원)의 상품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관세 부과가 예고된 8월 1일까지 보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협상국들을 향해 시장을 개방하라는 미국의 압박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포토리뷰